"무분별한 도시 개발 자제, 귀농귀촌 요인 만들어야"

진주시 32개 읍면동의 지방소멸지수(2016년 기준)를 측정한 결과 14개 읍면동의 지방소멸지수가 ‘위험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소멸지수는 일본의 마스다 히로야가 펴낸 ‘지방소멸’이라는 책에서 개념화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14년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 인구로 지방소멸지수(20-29세 여성인구/65세 이상 고령인구)를 만들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기준에 따르면 지방소멸지수 0.5이하는 소멸위험지역, 0.5~1.0은 쇠퇴위험지역, 1.0이상은 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는 지역으로 분류된다.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최승제 박사는 지난 2017년 진주시 32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지방소멸 지수를 산출해냈다. 그 결과 진주지역 전역을 대상으로 한 지방소멸지수는 0.84로, 진주는 ‘쇠퇴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읍면동별로 살펴보면 면 단위는 대체로 지방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 충무공동을 비롯한 신도시 지역은 공동체 유지가 가능한 양호 단계 지역으로 분류됐다.

 

▲ 진주시 32개 읍면동 지방소멸지수

분석결과 진주지역에서 지방소멸 가능성이 높은 소멸위험지역(0.5미만) 단계의 읍면동은 14곳에 달했다. 14곳 가운데 ‘매우 위험(0.2미만)’ 단계의 읍면동은 7곳으로 금곡면 수곡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대곡면 미천면 지역이다. ‘위험 단계(0.2~-0.5)의 읍면동은 정촌면 명석면 대평면 진성면 일반성면 집현면 중앙동이다.

쇠퇴위험지역(0.5~1.0) 단계의 읍면동은 문산읍 내동면 천전동 성북동 신안동 이현동 상봉동 상평동 상대1,2동이었으며, 공동체 유지가 가능한 양호 단계(1.0이상)의 읍면동은 충무공동 평거동 판문동 하대1,2동 초장동 금산면이었다.

인근의 남해, 산청, 함양, 하동, 거창의 경우 상황은 더 심각했다. 남해군은 지방소멸지수가 0.19로 전국 4위를 차지했으며 산청군은 0.21로 전국 8위, 함양군은 0.25로 전국 24위, 하동군은 0.26으로 전국 29위, 거창군은 0.36으로 전국 61위를 기록했다. 모두가 지방소멸 위험지역인 셈이다.

최승제 박사는 이 같은 현상의 원인에 “면 단위의 경우 ‘서울 집중’, ‘도시 집중’ 패러다임 때문에 전국적으로 젊은 인구가 계속 떨어지는 추세”라고 밝히고 구도심, 신도시 주변 지역이 지방소멸위험지역으로 나타난 것에는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그 주변이나 구도심에 대한 대책을 제대로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안으로 "면 단위 농촌 지역에 청년들이 와 살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청년들의 귀농귀촌을 불러오기는 굉장히 어렵긴 한데 경제적 지원, 인적 네트워크 구성 등 여러 방안을 고민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구도심, 신도시 주변지역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무분별한 도시개발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며 “도시재생사업도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