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고 있는 진주속의 진주 : “진주 정촌 공룡화석산지는 세계급 보호대상”

- “우리는 진주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를 통해 백악기 공룡의 숨소리를 들을 수 있다”

“지금 우리는 공룡 한 마리를 직접 잡아 발바닥을 뒤집어 볼 수 있는 곳에 살고 있다” 진주교대 부설 한국지질연구소 소장 김경수 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백악기 진주층을 두고 이같이 밝혔다. ‘세계최대’ 공룡발자국 밀집지, ‘세계최소형’ 공룡발자국 발견지, ‘세계최초’ 소형공룡 발자국 피부화석 발견지 등의 타이틀을 동시에 가진 곳은 경남 진주시다.

 

▲ 진주 정촌 육식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에서 8000점 이상의 공룡발자국은 규모도 세계 최대지만 보존상태도 뛰어나다. 이에 지질유산 관리Ⅰ등급으로 분류, 세계급 보호대상으로 각광받고 있다.

진주에서는 다채로운 백악기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실제 본적은 없지만 우리에게 친숙한 공룡. 이들은 공룡번식이 절정을 이룬 1억 1000만 년 전, 거대한 호수가 있었던 진주에서 뛰어놀며 발자국만 남긴 채 사라졌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들의 발자취를 통해 중생대 백악기에 어떤 공룡이 살았고, 그들의 생활사는 어땠는지 엿볼 수 있게 됐다.

진주시는 소중한 유산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일부 훼손되고 있으며, 이곳에서 출토된 화석을 보관할 장소가 부족해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타 지역으로 이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정촌 화석산지에서는 8000점 이상의 공룡발자국이 발견돼 세계최대 규모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뿌리산단 조성 공사 진행으로 보존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단디뉴스>는 먼저 진주에서 발견된 대표적인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가치를 분석해본다. 1부에서는 백악기 진주층과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가치를 조명해보고, 2부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유수리 백악기 화석지, 가진리 새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혁신도시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가치를 분석해본다. 이어 3부에서는 공룡화석산지 보존 인프라 실태를 진단, 4부에서는 공룡화석산지를 잘 활용한 선진사례 분석, 5부에서는 이곳을 보완하는 방법과 함께 문화관광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대안까지 모색해 본다.

 

▲ 진주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세계급 보호대상인 지질유산 관리Ⅰ등급으로 분류되는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2곳(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유수리 백악기 화석산지)과 국가급 보호대상인 지질유산 관리 Ⅱ등급으로 분류되는 2곳(가진리 새 및 공룡발자국 화석지, 혁신도시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이 있다.

- 진주에는 공룡발자국 화석산지가 네 곳 이상 된다.

진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공룡발자국화석산지가 3군데 있다. 유수리 백악기 화석지(천연기념물 제390호), 가진리 새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395호), 혁신도시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543호)다. 또한 정촌면 예상리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공룡발자국 세계최대 밀집지뿐 아니라 지질유산 관리 Ⅰ등급(세계급 보호대상)으로 분류돼 최근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 진주지역 내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분포도

- 공룡발자국이 남기 좋은 조건이었던 진주

공룡발자국이 발견되기 위해선 온화한 기후조건, 적절한 수분량, 부드러운 흙의 상태, 공룡의 보행형태 등이 적절하게 배합된 상태에서 퇴적물이 쌓여야한다. 우리나라에는 10여 개의 크고 작은 중생대 퇴적분지들이 있는데, 공룡발자국 화석 대부분은 경상분지에서 발견됐다. 경상분지는 경상남·북도에 걸쳐있는 퇴적분지다.

경상분지는 화산활동의 정도에 따라 세 곳으로 나뉜다. 이곳은 △유천층군(화산활동이 극심한 시기에 퇴적된 지층) △하양층군(화산활동과 동시에 퇴적된 지층 : 칠곡층, 신라역암층, 함안층, 진동층) △신동층군(화산활동 이전의 지층 :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등으로 세분된다.

 

▲ 경남 화석산지 및 퇴적층 분포도, 진주, 고성, 하동에서 공룡화석 대부분이 발견됐다.

전 세계적으로 공룡발자국 화석이 많이 나오는 곳은 우리나라의 ‘진동층’과 ‘진주층’이다. 먼저 진동층은 지난 1972년, 국내 최초로 공룡발자국이 발견됐으며, 공룡엑스포로로도 유명한 고성군이 위치해 있는 곳이다. 고성군은 이곳에서 발견된 2000여 점의 공룡발자국 화석을 잘 활용해 세계 3대 공룡유적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진주층에서는 1만점 이상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이처럼 진주에 수많은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이유가 있을까? 중생대 진주에는 거대한 호수가 있었다. 생명체가 번식하기 위해선 주변에 물이 있어야 하는데, 이 호수를 중심으로 공룡이 번식했다. 최근 진주 혁신도시와 뿌리산업단지 등에서 대규모 토목공사가 진행되면서 지층에 감춰져 있던 공룡발자국 화석이 대거 출토됐다. 이는 공룡이 번식했던 중생대 백악기 당시 진주지역에 공룡 개체수가 많았고, 화석의 보존이 최적화된 상태에서 퇴적층이 형성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 진주층의 유래는?

진주층은 어떻게 유래 됐을까? 앞서 언급한 호수는 진주를 중심으로 밑으로는 남해, 위로는 대구까지 걸쳐 있었다. 지층의 이름을 명명할 때는 그 지층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지역의 이름을 따기 마련이다. 진주층이라는 이름은 지난 1910년, 일본 지질학자 다테이와에 의해 제안됐다. 이 때 진주 뒤벼리에 있는 절벽을 기준으로 진주층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뒤벼리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의 진주층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공룡화석산지로는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와 혁신도시 익룡·새·공룡발자국 화석산지가 있다.

 

▲ 좌(정촌 뿌리산단 내 8000여 점의 공룡발자국이 발견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우(공룡발자국 화석 확대도) 

 

■ 예상리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천연기념물 미 지정, 지질유산 관리Ⅰ등급, 백악기 진주층)

▷ ‘세계최대’ 공룡발자국 화석 밀집지, ‘라거슈타테’ 인정

▷ ‘세계최초’ 소형육식공룡의 완벽한 발바닥 피부화석 발견

▷ ‘아시아최초’ 대형 거북 보행렬 발견

▷ 지질유산 관리Ⅰ등급(세계급 보호대상)

 

▲ 정촌 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에서 발견된 대형 육식 공룡발자국(좌 : 보행렬), (우 : 공룡 발자국 화석)

-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세계최대 규모의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다”

예상리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공사가 진행 중인 정촌 뿌리산업단지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서 8000점 이상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공룡발자국 화석 발굴 작업은 현재 8개 지층 중 3번째 지층까지 진행됐다. 특히 3번째 지층에서만 7714 점의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는데, 이는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볼리비아의 5050여 점을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은 규모도 세계 최대이지만 보존상태도 뛰어나다. 이에 지질유산 관리Ⅰ등급으로 분류, 세계급 보호대상으로 각광받고 있다.

정촌 화석산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이후 발굴조사가 충분히 이뤄진다면, 출토될 공룡발자국 화석 수는 수만 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학계에서는 정촌 공룡화석산지를 ‘라거슈타테’로 부르고 있다. ‘라거슈타테’는 독일어로 ‘대규모 화석 발견 장소’를 의미한다.

 

▲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에서 발견된 소형 육식공룡 '미니사우리푸스'의 발바닥 피부화석(좌 : 미니사우리푸스 상상도, 우 : 발자국 피부화석)

- “정촌에서 소형육식공룡, ‘미니사우리푸스’의 완벽한 발 도장을 얻다”

특히 정촌 화석산지에서는 ‘아기 발 도장’처럼 피부자국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돼 이목이 집중됐다. 이 발자국은 소형육식공룡인 ‘미니사우리푸스’의 것이다. 공룡 피부화석이 완벽하게 발견된 사례는 세계 최초다. 이 발자국화석은 총 5개가 발견됐는데, 그 중 4개는 피부자국이 뚜렷하게 보존돼있다. 특히 공룡 걸음걸이가 그대로 나타나는 보행렬이 나타나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보행렬로 인해 공룡의 크기, 보행특성, 이동방향 등에 대한 진단이 더욱 정확해 졌다는 분석이다.

이 공룡은 까마귀 정도의 크기로 평균 28cm의 몸집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발자국 길이는 평균 2.4cm로 작지만 시속 8~9km 정도로 빨리 달릴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발바닥 피부에 돋아 있는 0.3~0.5mm 크기의 작은 돌기는 중국에서 발견된 백악기 시대 조류와 흡사하다. 이에 소형 육식공룡과 조류 간 기능·형태학적 연결성도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 화석의 가치는 최근 뉴스위크, 사이언스 타임즈 등 해외 언론뿐 아니라 스미스 소니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등 해외 유명 과학 매거진에 소개돼 조명되기도 했다.

 

▲ 소형육식공룡 '미니사우리푸스'의 완벽한 발바닥 피부화석

- “발굴조사 중인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가치는 무한대”

정촌 화석산지의 첫 번째 지층면에서는 지름 1m의 대형초식공룡 발자국화석을 비롯해 270여 개의 공룡발자국이 발견됐다. 두 번째 지층면에서는 지름 2~40cm의 소형 육식공룡발자국화석 250여 개와 보행렬도 나왔다. 특히 세 번째 지층면에서는 중·소형 육식공룡 발자국이 대거 발견돼 7714개에 이르렀다. 아직 8개 지층면 가운데 일부분만 발굴됐지만 이들은 각각의 특징을 갖고 있다. 네 번째 지층면에서는 익룡 발자국, 다섯 번째 지층면에서는 익룡과 대형 거북의 보행렬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형 거북 보행렬의 발견은 아시아 최초의 사례다.

 

▲ 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된 대형 거북 보행렬 화석

공룡뿐 아니라 새·악어 발자국 화석과 패갑류·어류·곤충 화석 등 백악기 다양한 생물의 화석도 이곳에서 발견됐다. 또한 건열(땅의 겉 표면이 말라 거북이 등처럼 갈라져 터진 모양), 연흔(물결자국) 등 백악기 퇴적환경을 추정할 수 있는 화석도 발견되고 있다. 이곳의 화석은 원래 낮은 구릉지대로 자연적 풍화를 받지 않은 신선한 상태로 노출됐지만 산단 조성공사로 훼손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촌 화석산지를 보존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이곳을 천년기념물로 지정하고, 현지보존 결정을 서둘러 내려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정촌 육식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이미 라거슈타테로 불리고 있다”

 

▲ <단디뉴 스>는 지난 11일, 공룡화석 분야 세계적 권위자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 덴버대학 교수와 정촌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공룡화석 권위자 로클리 교수 “진주 정촌 공룡 화석산지 반드시 보존돼야”

공룡화석 연구 분야의 국제적 권위자,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 덴버대학 교수는 “진주 정촌 공룡화석산지는 세계최대 규모며, 보존상태도 뛰어나다. 이곳은 세계의 저명한 학술지와 학계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이미 라거슈타테로 불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곳은 세계인이 향유해야할 문화유산이므로 꼭 보존돼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단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